도서
단행본
봄날 이른 아침 시인이 심은 나무 / 한국현대시인협회 편.
서울 : 시문학사, 1996.
373 p. ; 23 cm.
한국현대시인협회 '96년 사화집.
한국어
목차
꽃 속에 들어가 / 姜敏 = 17
부활하는 넋 분수여! / 강정화 = 18
가을 편지 / 姜俊馨 = 20
프라도 美術館에서 / 姜通源 = 21
新思美人曲 / 경규희 = 23
유칼리 나무 / 高昌秀 = 24
戀歌 / 공석하 = 25
時間은 / 郭文煥 = 26
봄의 약속 / 곽현숙 = 27
돌이 다문 사연 / 具湘會 = 28
꽃 / 구연식 = 30
바람이 깨어나서·29 / 권오욱 = 31
망초꽃 향기의 겨울 / 權逸松 = 32
봄볕 / 權鎭喜 = 34
읽어버린 섬을 찾아서·60 / 권천학 = 35
아침 목련 / 김건일 = 36
訃音 / 金敬 = 37
지하상가의 당신은 아이리스 / 金璟麟 = 38
청산 가던 나비 / 金景浩 = 40
獨島는 외롭지 않다 / 金桂德 = 41
발명꽃 / 김관형 = 43
사리포구의 노을 / 金光玉 = 44
우리 단풍 / 金光會 = 45
용유도, 겨울 / 金圭和 = 47
父書, 그 마지막 점 / 金南坤 = 48
사람·71 / 金年均 = 49
개발 / 金東五 = 50
吐含山 有情 / 金斗祚 = 52
쳇다리날도래의 애벌레 / 金斗漢 = 53
가을 편지 / 김두환 = 54
旅宿 / 김명숙 = 55
토요일 오후 / 김미순 = 56
가진 보물은 없어도 / 金相亨 = 57
노르웨이의 숲 / 김성연 = 58
악몽의 병실에서 / 김성진 = 59
소리의 여행 1 / 金聖浩 = 60
시간 / 김순권 = 61
公無渡河歌 / 金市宗 = 62
봄바람 / 김신철 = 63
생의 한가운데 / 김아랑 = 64
꽃과 인간 / 김연복 = 65
입시생들에게 / 김연수 = 66
생명 / 김영민 = 68
슬픔이 슬픔을 / 김영옥 = 69
祈願 / 金永辰 = 71
관계·28 / 김완성 = 73
수수께끼 / 김용언 = 74
오르가슴 / 김용오 = 75
사랑 / 김용오 = 76
망년회 / 김용우 = 77
당신의 봄 / 金雲香 = 79
개구리 / 김월준 = 80
공중변소에 핀 꽃 / 金允晥 = 82
조국 / 金允鎬 = 84
종이모자 / 金仁燮 = 86
목련꽃과 牧者 / 金正淑 = 87
自由를 맡기고 身分을 가짐 / 김종성 = 88
길 / 金種潤 = 91
사람과 시간 / 金芝鄕 = 92
네 가슴 어딘가에 / 김진영 = 93
이중 인생 / 金艸里 = 95
季節 앞에 서면 / 金兌龍 = 96
허무주의 / 김효동 = 97
봄강 / 나홍련 = 98
아버지 / 盧柚燮 = 99
古稀餘望 / 盧益星 = 101
휘청이는 허리 / 魯珍善 = 102
窓 / 도창회 = 103
시골 우체국 / 라기주 = 104
七寶寺 겨울 햇살 / 浪丞萬 = 105
12월에 / 류정숙 = 107
길 / 文德守 = 108
살아 움직이는 일 / 文道采 = 110
눈오는 날의 소상 / 문인호 = 112
統一의 役軍! / 文重燮 = 113
그림자 / 문창길 = 115
고로쇠 나무 / 문효치 = 116
벌레의 城·1 / 朴健 = 117
벌초를 하면서 / 박건웅 = 118
사루비아 朴慶錫 = 120
드라이 플라워 / 박경순 = 121
경계를 넘어 / 박경자 = 122
딸들의 시대·12 / 박곤걸 = 123
황진이 / 박남권 = 124
우리들의 기도 / 朴萬琪 = 125
눈물로 흘러 / 朴明和 = 126
층층나무 사연 / 박선자 = 127
길 / 朴松竹 = 128
노씨의 재판 광경을 / 朴永河 = 129
大谷里에서 / 박진환 = 131
폐농 15 / 박찬 = 132
대금산조 / 박필경 = 133
빨간 신호등 / 박현령 = 134
想 / 朴洪元 = 135
암울한 시절의 명상록 / 박훤 = 136
落照 / 房極寅 = 138
실향의 노래 / 배상호 = 139
실종 신고 / 白俊贊 = 140
만남 / 백한이 = 142
풀잎처럼 누워서 / 夫澤勛 = 143
고향 풍경 / 서정남 = 144
산정, 함양의 콩꽃 / 徐廷柱 = 145
찻잔을 들고 / 석병호 = 146
혼자 남은 에리카 / 설창수 = 147
비틀거리는 현실 / 成芝月 = 148
청둥오리 / 소재호 = 150
마음 / 손기섭 = 152
차마 흔들림으로 존재하는 당신 / 손남태 = 153
빛 / 손보순 = 154
두 섬 對馬島 / 손해일 = 155
소망을 여는 아침 / 송동균 = 156
핵의 날·1 / 송상욱 = 157
시악시 바람 / 송용구 = 159
조선인의 탄생 / 송일영 = 160
고향 / 송재범 = 161
오늘은 / 송재섭 = 162
섬 / 송하선 = 163
알로하 / 辛庚寅 = 164
雪嶽山에서 / 신기선 = 165
꽃이라 했더니 / 신세훈 = 166
불배 / 申順愛 = 167
개인과 세계 / 沈相運 = 168
제 눈의 안경 / 安明鎬 = 170
통일호 열차를 타고 / 안태경 = 171
동그라미·2 / 梁埈豪 = 172
팔만대장경에 이르러 / 엄미경 = 173
歲月 / 엄창섭 = 175
의지목 / 엄한정 = 176
백두산에 오르다 / 오동춘 = 177
夜行性 / 오만환 = 181
발견·2 / 五米里 = 182
겨울 이야기 / 오사라 = 183
백산기포(起包) / 오진현 = 184
獨島 그리고 燈台 / 吳七善 = 185
총화 / 우숙자 = 187
나무들 며느리밑씨개 개불알꽃 / 元永東 = 188
실뜨기 / 위상진 = 189
思美人圖 / 柳光烈 = 191
오라, 이 겨울 자작나무 숲으로 / 柳謹助 = 194
눈보라 휘날리는 오후 / 유영 = 196
목련 / 윤서희 = 197
비우며 살기 / 尹錫浩 = 198
塔 / 윤여설 = 199
꿈 / 윤인경 = 200
금붕어 23 / 윤제철 = 201
나이를 먹는다는 것은 / 윤종혁 = 202
꽃그늘 아래서 / 윤춘옥 = 203
秘苑에서·Ⅲ / 尹姬善 = 204
껌, 크로레츠 / 이경아 = 205
지난 얘기 / 李光碩 = 206
겨울 나무 / 이귀온 = 207
산 / 李基班 = 209
망향 50년 / 李氣鎭 = 210
계란 껍질에 앉아서 / 이길원 = 212
편지 / 이만근 = 213
서시 / 이만주 = 215
천국 / 이병기 = 216
同伴 / 이병훈 = 218
선유도(2) / 李福雄 = 219
잠 / 李錫寅 = 220
사는 까닭 / 이성남 = 221
구름 / 이수화 = 223
봄맞이 / 이승복 = 224
길에 대한 저항 / 이시언 = 225
2000년의 아침 / 이신강 = 226
고독한 날에 / 이영자 = 227
언밸런스 / 이영춘 = 228
作別 / 李玉熙 = 229
봄바람 / 이용주 = 230
쓸쓸한 날, 우리 어머니 / 李雲龍 = 231
살아서 당하는 일 / 李元喆 = 232
귀뚜라미 / 李裕植 = 233
두 소나무 / 이일섭 = 235
내 마음에 너는 / 李在英 = 236
봄비 / 이정기 = 238
벚꽃 / 李貞林 = 239
바다와 사는 老松 / 李政龍 = 241
長白山 天池 / 李鍾奭 = 242
마오 쩌둥〔毛澤東〕 / 이종희 = 245
不行 / 李俊凡 = 248
들고양이들의 웃음 / 李昌年 = 249
바람 속의 여행 / 이해웅 = 250
흐린 날 / 이향아 = 251
귀뚜라미에 대하여 / 李孝寧 = 252
又思亭에서 / 李熙穆 = 253
어머니를 그리며 / 印少里 = 254
메주 / 임관영 = 255
봄날 아침 남한 강변에서 그린 파스텔화 / 林炳鎬 = 257
귀 / 임보 = 258
우리 당신 먹고 살았듯이 / 임웅수 = 259
손을 씻으며 / 임호영 = 261
간도여 / 장윤우 = 262
내 故鄕 민들레 / 장인석 = 263
所在를 찾아서 / 전규태 = 264
가을이 오는 들판에서·1 / 全基洙 = 265
가슴 저미는 夕陽 / 전덕기 = 266
걱정거리 / 全尙烈 = 267
나이아가라 폭포 / 전연욱 = 268
멀리 가까이 퍼져있는 / 鄭光修 = 269
구례 사람들 / 丁奇錫 = 270
어느날 아침 / 정남순 = 272
당신은 누구십니까? / 鄭德姬 = 274
겨울의 눈이 바람과 함께 해안에 내리다 / 鄭得福 = 275
삼학사를 생각한다 / 鄭旼浩 = 276
龍宮寺에서 鮮脫하다 / 정방진 = 277
저기 우는 것은 낙엽이 아니다 / 정성태 = 278
보름달 / 정숙자 = 279
抒情의 피 / 鄭珣永 = 280
詩人 나그네 / 鄭丞夏 = 281
반란의 끝 / 鄭然德 = 282
벌판에 서다 / 정연자 = 283
坐像(Ⅰ) / 정영일 = 284
김해 명지에서 / 鄭永泰 = 285
겨울밤 / 鄭玉壽 = 286
半香 / 鄭渭鎭 = 287
코스모스 / 정의홍 = 288
빈손으로 가는 양재천 / 鄭仁損씬�날에 / 鄭在浣 = 291
사향 노루 / 정재호 = 292
육체의 길 / 정창운 = 293
길을 보면 / 제해만 = 294
九千洞 讚歌·8 / 趙紀浩 = 295
石佛 / 曺米愛 = 296
가을에 / 曺秉基 = 297
봉선사 소리 / 曺秉武 = 298
당성에 오르다 / 趙石九 = 299
耽羅紀行 / 趙琓默 = 300
내가 너를 떠나지 못하는 이유·2 / 조완호 = 302
늙는다는 것 / 趙雲濟 = 303
겨울 병원 / 趙仁子 = 305
녹차 / 조정애 = 306
보랏빛 사랑 / 조혜식 = 307
밥을 앙구며·6 / 朱根玉 = 308
市場風景 / 池漢柱 = 310
이층 창유리의 구도 / 陳東奎 = 312
지지 않는 꽃 / 晋宜夏 = 313
봄같지 않네 / 陳憲成 = 315
꽃은 지기 위해 아름답다 / 車映翰 = 316
변신·3 / 채규판 = 317
의미 / 蔡洙永 = 318
목련 판타지아 / 崔桂植 = 319
소리산 / 최단천 = 320
亂視 / 崔戊子 = 321
자작나무 숲 / 최승범 = 322
방황 / 최시병 = 323
귀가 / 최영숙 = 324
감나무 아래서 / 최원규 = 325
꽃뱀 울음 / 崔銀河 = 326
고향 바람 / 최일환 = 328
선주화 / 崔辰聖 = 329
겨울 그림 / 崔進淵 = 330
호수에게 / 崔創一 = 331
산꽃 / 崔炯 = 332
인연 / 河吉男 = 333
대(竹)에 관한 斷想 / 韓景東 = 334
밥상머리 앉아 / 한병호 = 336
안과 밖 / 韓順虹 = 337
당신 앞에서 / 한영일 = 338
비무장 지대에 흐르는 물 / 한지혜 = 339
2월 28일 / 咸東鮮 = 340
구멍이 난 돌멩이 / 함혜련 = 341
명사십리 / 許壹 = 343
겨울밤 전라도 / 허소라 = 344
生命의 그림자 / 洪性文 = 346
겨울섬 / 洪申善 = 348
素心 / 홍해리 = 349
裸木 / 黃命 = 350
쌍계사에서·2 / 黃善河 = 351
번데기 / 黃松文 = 352
밝고 맑은 햇살 / 黃夏澤 = 354
한국현대시인협회 회칙 = 355
현대시인상 규정 = 358
한국현대시인협회 26년 약사 = 359
한국현대시인협회 세미나 약사 = 372
한국현대시인협회 역대 회장 = 373
현대시인상 역대 수상자 = 373